용어 정의
Free Software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라는 개념은 Free Software Foundation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자유롭게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권리에 중점적이고, 상업적 이용에 엄격하다.
사용자들에게 소스코드를 제공한다는 것은 소프트웨어의 발전에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이상적이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라이센스나 지적재산권의 분장이 일어날 수 있다.
Open Source Software
Free Software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하여 일부 완화된 정책을 가지고 있다.
파생시킨 소프트웨어의 저작권자가 배포방식을 선정해서 공개할 수 있다.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데 중점, 상업화 가능
공개 소프트웨어
한국 공개소프트웨어 협회에서 지원하기도 한다.
상업용 소프트웨어
오픈소스소프트웨어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오피스, 어도비사의 포도샵 등이 있다.
클라이언트 수, 동시 사용자수, 사용 기간, 기능 등의 사용 조건을 제약하고 정상적인 사용을 위해 비용을 과금하는 형태로 수익을 올린다.
핵심 소프트웨어의 코드는 공개하지 않고 라이센스의 정책에 따라 필요한 범위 만큼의 코드만을 공개한다.
OSS(Open Source Software) 정의
저작권자가 소스코드를 공개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복제, 수정, 재배포할 수 있도록 허락한 소프트웨어
소스코드를 공개한다는 것이 저작권자의 권리를 포기한다는 것은 아니다.
OSS에도 저작권이 존재하므로, 라이선스의 의무사항을 지켜야 한다.
GPL, MIT, Apache 등의 라이선스로 권리를 보호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해당 소스코드를 조작하는 것은 아니고 수정, 배포된 라이센스의 정책과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
소스코드는 공개하였으나, 지적재산권으로 보호되는 저작물임을 유의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소스코드를 재사용함으로써 소프트웨어가 진화되고 또 다시 개방되는 선순환 구조를 추구한다.
OSS 장점
- 고착(lock-in)현상 탈피하고 자체적으로 버그 수정 및 요구사항 / 기술 변화에 적응 가능
- 비용 절감과 오픈 소스 및 라이브러리의 재사용 가능에 따른 생산성 증대
- 공개된 소스 코드를 분석해 프로그램의 기술 습득이 용이하고 기술력이 향상
OSS 단점
- 품질을 보증하는 기업이 없어 SW 품질에 대한 보증 부족
- 기업의 영업 비밀, 핵심기술 유출 가능성이 존재
- 특허 침해 가능성
'학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vi 편집기 (0) | 2021.09.11 |
---|---|
[네트워크] TCP/IP 프로토콜 (0) | 2021.09.05 |
[네트워크] 통신 기초- OSI 7계층 모델, 프로토콜, 라우터 (0) | 2021.09.04 |
[설계 패턴] 디자인 패턴이란? (0) | 2021.09.01 |
[Spring] Web Architecture- 동적 페이지 / 정적 페이지 (0) | 2021.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