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Domain Name System)
- 호스트명(컴퓨터의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해주는 시스템
- 이름 해석의 주요 시스템 중 하나
-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을 할 때 반드시 상대의 IP 주소를 지정해야 하는데 IP주소는 기억하기 어려워 호스트명으로 통신 상대를 지정한다.
- 이름 해석:
- 호스트명으로 IP주소를 나타내는 시스템
- DNS 서버에 네임 쿼리를 송신해서 목적 호스트명의 매핑된 IP주소를 질의하는 과정
- PC가 웹 서버에 접근할 때 자동으로 DNS 서버에 질의
- 구조
- 리소스 레코드: 호스트명과 IP주소의 매핑. DNS로 이름을 해석하기 위해 등록해야 함
- 도메인: 호스트명의 집합. 계층화하여 관리
- 존: DNS 서버에 등록된 리소스 레코드의 집합
- 동작
- 호스트명에 매핑할 IP 주소의 정보를 DNS 서버에 등록해두면 클라이언트가 필요할 때 DNS 서버에 질의를 보낸다.
- DNS 서버 질의는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 nslookup 명령어를 사용하면 DNS 서버 질의를 수동으로 할 수 있다.
- DNS 라운드 로빈 방식
- DNS 서버의 이름 해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버의 부하 분산을 수행
- 웹사이트로 요청이 들어왔을 때, 서버 여러대가 순서대로 처리해 등록된 IP 주소를 순서대로 반환
- 동적 DNS
- IP 주소가 변경되었을 때 DNS 서버에 이를 알림으로써 호스트명과 IP 주소 매핑을 동적으로 갱신하는 시스템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웹 액세스의 흐름, HTTP 프로토콜 (0) | 2022.12.22 |
---|---|
[네트워크] TCP와 UDP (0) | 2022.12.11 |
[네트워크] IP 주소란? (0) | 2022.12.11 |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종류, 형태, 구성 (0) | 2022.12.11 |
[네트워크] soket API의 흐름 (0) | 2021.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