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의 구성 요소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 장비, 전송 매체로 이루어져 있다.
- 컴퓨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
- PC나 서버
- 네트워크 장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기
- 라우터(네트워크를 서로 연결)
- 스위치(네트워크 내부의 데이터 전송)
- 전송 매체: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
- 유선(케이블)
- 무선(전파)
홈 네트워크를 인터넷에 연결하려면
홈 네트워크를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ISP와 인터넷 공급 계약을 맺어야 함
홈 네트워크와 인터넷(계약을 맺은 ISP와의 사이)는 브로드밴드 라우터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
-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기업
- 브로드밴드 라우터: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 개인용 라우터
LAN
LAN(Local Area Network)
사용자가 직접 구축, 운용, 관리하는 네트워크
규격으로는 이더넷이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음
- 이더넷: 같은 네트워크 내부의 LAN 포트들끼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규격
이더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하는 주소를 MAC 주소라고 함
인터넷
전세계의 ISP가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외부의 네트워크)
인터넷에 연결한다는 것은 ISP에 연결하는 것을 의미
액세스 회선: ISP와 연결하기 위한 통신회선
네트워크 아키텍처
통신을 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토콜(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규약) 조합
이러한 네트워크 아키텍쳐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함
통신의 역할을 계층별로 나눠서 생각
- OSI 참조 모델 계층구조
- 응용 계층
- 표현 계층
- 세션 계층
- 전송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물리 계층
- TCP/IP 계층구조
- TCP와 IP를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 군
- OSI를 대신하여 오늘날 가장 폭넓게 이용됨
- 응용 계층: 애플리케이션끼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규약을 규정
- 전송 계층: PC나 서버에 도착한 데이터를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에 전달
- 인터넷 계층: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PC나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같은 네트워크 내부의 데이터 전송에 이용
반응형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TCP와 UDP (0) | 2022.12.11 |
---|---|
[네트워크] DNS의 구조 (0) | 2022.12.11 |
[네트워크] IP 주소란? (0) | 2022.12.11 |
[네트워크] soket API의 흐름 (0) | 2021.09.18 |
[네트워크] TCP/IP 공유기 사용 환경, NAT (0) | 2021.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