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79

[Linux] 리눅스 쉘 환경변수/지역변수

쉘 변수 환경변수와 지역변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환경 변수는 값이 자식 프로세스에게 상속되지만 지역변수는 그렇지 않다. 환경 변수는 시스템 전체에 적용되는 변수이고 지역변수는 현재 터미널에서만 적용되는 변수이다. 환경변수와 지역변수 예 $ country=korea city=seoul (변수이름) = (값) country라는 지역 변수를 환경 변수로 만들려면 export를 사용한다. $ export country export country = korea 이렇게 하나의 명령어로도 할 수 있다. $ echo $country $city 출력을 해준다. $ sh 현재 bash 위에다 본 쉘을 실행시킨다. bash: 부모, shell: 자식 $ echo $country $city korea => city는 ..

DEVOPS/LINUX 2021.09.11

[Linux] 리눅스 쉘 전면처리/후면처리

전면 처리(foreground processing) 명령어를 입력하면 명령어가 전면에서 실행되며 명령어 실행이 끝날 때까지 쉘이 기다려 준다. 표준입력이 가능하다. 후면 처리(background processing) 명령어들을 후면에서 처리하고 전면에서는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명령어 & background에서 작업 실행하기 $ (sleep 50; echo done1) & => 세미콜론은 연속해서 실행하라는 뜻이다. 괄호는 두개 이상의 명령어를 연결하고 전체를 백그라운드에서 돌리기 위함이다. 50초동안 sleep하라. 50초가 지나고 sleep이 실행이 된 후에 done1을 출력하라. 백그라운드가 돌아가고 바로 프롬프트가 뜬다. $ (sleep 50; echo..

DEVOPS/LINUX 2021.09.11

[Linux] 리눅스 권한 변경하기(chmod, chown,chgrp)

파일 속성 ex) 4: 파일의 블록 수 -: 일반 파일 -rw-rw-r--: 사용 권한 1: 링크 수 doyeon doyeon: 소유자, 그룹 6: 파일 사이즈 Sep 9 02:24 : 수정 시간 text.txt: 파일 이름 사용 권한 rwxrwxrwx라고 한다면 앞의 rwx는 소유자, 두번째 rwx는 그룹, 마지막 rwx는 기타 사용자에 대한 접근 권한이다. 권한이 없으면 -로 표시한다. ex) rw- r-- r-- => 현재 소유자는 읽고 쓰기 권한이 있으며 실행 권한은 없다.(실행 파일이 아니다.) 소유자가 속한 그룹의 접근 권한은 읽기 권한만 있다. 기타 사람들은 읽기 권한만 있다. 파일 권한 변경 파일 및 폴더의 권한은 셸에서 ls -al 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맨 앞에 d가 있으면 해당..

DEVOPS/LINUX 2021.09.09

[Linux] 리눅스 명령어들 정리

간단한 명령어 $ date : 날짜 출력 $ hostname : hostname 출력 $ uname : username 출력 $ who : 현재 로그인 한 사람 출력 $ ls :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리스트 출력 $ clear : 화면 지우기 $ passwd : 패스워드 바꾸기 디렉터리 관련 명령어 $ pwd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작업 디렉터리를 프린트 현재 작업 디렉터리는 프로세스마다 부여된다. 현재 명령을 내리는 shell이라는 프로세스의 작업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 cd [디렉터리] change directiory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이동 shell에 있는 현재 디렉토리를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한다는 의미다. $mkdir [디렉터리] make directory 새 디렉터..

DEVOPS/LINUX 2021.09.09

[네트워크] TCP/IP 프로토콜

IP 주소 네트워크 환경에서 컴퓨터(노드)간 통신하기 위해 각 컴퓨터에 부여된 네트워크 상 주소 - 인터넷 프로토콜(IP) 경로에서 사용되는 주소 - 3번째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주소 일반 사용자가 상위 계층(DNS)에게 데이터를 요청하려면 DNS 이름 확인(서비스 요청)을 요구해야한다. 그 이름에 대한 IP주소를 넘겨 받고 그 IP에 대해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 때 비로소 네트워크 계층이 IP 계층이 된다. DNS DNS란 Domain Name System의 약자이다. 숫자 형식으로 된 ip주소는 사람이 기억하기 힘들어 도메인이 나타나게 되었다. 도메인이란, www.naver.com 처럼 숫자형태의 ip주소를 이름으로 바꾼것이다. DNS는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

학교 공부 2021.09.05

[리액트] 도서 검색 사이트 만들기

리액트로 도서 검색 사이트 만들기 기능 -책 제목, 출판사, 저자 별 단어 검색 -책 클릭시 상세정보 나오기 -페이지 클릭시 해당 페이지로 이동, 맨 끝 페이지/ 맨 앞 페이지 이동 -회원가입, 로그인 기능 리액트로 해본 첫 프로젝트였다. 백엔드 분들이랑 다른 프론트엔드 분들이랑 같이 작업했는데 백엔드에서 준 api 책 정보들을 프론트에서 받아 띄우는 식으로, 출판사, 저자, 책 이름별 검색시 필터링해 검색 단어가 포함된 책을 한 페이지 안 책의 개수만큼 렌더링하게 해줬다. 그리고 책 클릭 시 책 상세 정보 api를 받아 보여줬다. 페이징 처리 하는 부분에서 리액트에 원래 내장된 페이징 기능을 그대로 쓰지 않고 로직을 직접 짜서 했는데, 이 부분이 가장 어려웠던거 같다. 회원가입 부분에서는 post 방식..

FRONT/REACT 2021.09.05

[네트워크] 통신 기초- OSI 7계층 모델, 프로토콜, 라우터

통신 기초 OSI 7계층 모델 1. 물리 계층 전송매체(유선, 무선), 데이터 전송 속도, 클록 동기화 방법, 물리적 연결 형태 등 전송매체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만들어냄 2. 데이터 링크 계층 1:1 통신 물리 계층의 물리적 전송 오류 문제를 해결 프레임: 전송 데이터의 명칭 3.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결정(Routing) 호스트 구분을 위한 주소 개념 필요 (예: IP주소(논리주소)) 패킷: 전송 데이터의 명칭 혼잡 제어: 데이터 전송 경로의 선택에 따라 네트워크 혼잡에 영향을 미침 4. 전송 계층 송수신 프로세스 사이의 단대단 통신 기능을 지원 프로세스 구분을 위한 주소 개념 필요 (예: 포트 번호) 5. 세션 계층 송수신자 사이에 상위적 연결 개념인 세션을 지원 (로그인, 로그아웃..

학교 공부 2021.09.04

[오픈소스소프트웨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의해

용어 정의 Free Software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라는 개념은 Free Software Foundation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자유롭게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권리에 중점적이고, 상업적 이용에 엄격하다. 사용자들에게 소스코드를 제공한다는 것은 소프트웨어의 발전에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이상적이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라이센스나 지적재산권의 분장이 일어날 수 있다. Open Source Software Free Software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하여 일부 완화된 정책을 가지고 있다. 파생시킨 소프트웨어의 저작권자가 배포방식을 선정해서 공개할 수 있다.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데 중점, 상업화 가능 공개 소프트웨어 한국 공개소프트웨어 협회에서 지원하기도 한다. 상업..

학교 공부 2021.09.01

[설계 패턴] 디자인 패턴이란?

디자인 패턴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때 자주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한 재사용 가능한 해결책을 말한다. 경험이 많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의 해법을 잘 정리해서 이름을 부여하고 디자인적인 추상성을 주어 패턴화시키면, 이것 들이 공통 언어 역할을 하게 되어 좀 더 효율적으로 협동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경험이 없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은 효율적이고 유용성이 좋은 디자인에 대한 해법을 빠르게 읽히고 자신이 디자인하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학교 공부 2021.09.01
반응형